광고 수익 분석 이해하기
광고 수익 분석의 측정항목으로는 유사하게 보이는 측정항목도 일부 있지만, 그런 항목 사이의 차이는 광고 수익을 이해하는데 중요합니다.
RPM
1,000회 조회당 수익(RPM)은 동영상 조회수 1,000회당 발생한 수익을 나타내는 측정항목 입니다.
CPM
1,000회 노출당비용(CPM)은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 광고주가 지출하는 금액을 나타내는 측정항목입니다.
CPM이 왜 중요한가요?
컨텐츠 게시자는 자기 소유의 사이트에 광고가 게재될 때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액 중 일부를 수익으로 얻습니다.
따라서 광고주가 광고비를 많이 지불할수록 크리에이터의 수익이 증가 합니다. CPM은 광고주가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컨텐츠 게시자는 잠재고객이 얼마나 유용하다고 보는지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컨텐츠 게시자의 수익은 CPM과 조회수를 곱한 값이 아닙니다. CPM은 컨텐츠 게시자 수익이 아닌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액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든 조회수가 광고 조회수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광고주 친화적이지 않은 일부 컨텐츠에는 광고가 아예 게재되지 않습니다. 게재 가능한 광고가 없는 경우에도 컨텐츠에 광고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PM은 왜 변동하나요?
시간이 지나면서 CPM이 변동하는 것은 정상적이며 그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 연중 시기: 광고주는 연중 시기에 따라 입찰가를 높이거나 낮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광고주가 휴일 직전에 입찰가를 높입니다.
- 시청자 지역 변경: 광고주는 광고를 게재할 지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광고 시장에서 지역별로 경쟁의 정도가 다르므로 CPM도 지역마다 다릅니다. 조회수의 대부분이 발생하는 지역이 변경되면 CPM에도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CPM이 높은 지역에서 조회수가 발생했는데 이제는 CPM이 낮은 지역에서 조회수가 증가하면 CPM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사용 가능한 광고 형식 배분의 변경: 광고 유형마다 CPM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광고 인벤토리에 건너뛸 수 없는 광고가 많으면 CPM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조회수, 광고 노출, 추정 수익 창출
- 조회수: 컨텐츠를 조회한 횟수입니다.
- 광고 노출: 컨텐츠에서 개별 광고가 조회된 횟수입니다.
- 추정 수익 창출 재생: 광고가 포함된 컨텐츠를 시청한 횟수입니다.
모든 컨텐츠에 광고가 게재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조회 시 광고가 게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컨텐츠가 광고주 친화적이지 않은 경우
- 광고 또는 개별 광고 형식이 사용 중지된 경우
- 특정 시청자에게 게재할 수 있는 광고가 없는 경우 광고주는 특정 기기, 인구통계, 관심분야를 타겟팅할 수 있는데 시청자가 이 타겟팅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시청자의 지역, 최근 광고 시청 시기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추정 수익 창출 조회수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구글 공식 파트너사를 통한 광고 관리, 컨설팅을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 양식으로 문의주세요.
'구글 애드 매니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사용자들이 애드센스를 처음 시작할 때 어려워하는 주요 사항들 (0) | 2023.05.16 |
---|---|
5분으로 끝내는 구글 애드센스 수익창출 첫걸음 (0) | 2023.05.10 |
앱 개발자가 애드몹 수익을 극대화 하는 방법 (0) | 2022.06.02 |
구글 애드몹 수익 창출 전략 (0) | 2022.06.02 |
구글 애드매니저의 수익관리 (0) | 2022.05.29 |
댓글